시 기 | 구 분 | 내 용 |
---|---|---|
1~3월 | 운영위 구성‧운영 | 공모 추진방향, 공모주제 결정, 심사위원회 선정 등 |
4~7월 | 등록 및 작품접수 | 온라인 참가등록, 작품 및 모형은 오프라인으로 접수 |
7~8월 | 심사위 구성‧운영 | (구성) 운영위 추천, (역할) 참가작품에 대한 심사 |
9월 | 시상 및 전시회 | 9월~12월(수상작 발표는 9.8월) |
11월 | 작품집 발간 및 홍보 | - |
구 분 | 수 량 | 상 장 | 상 금 |
---|---|---|---|
대 상 | 1 |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| 500만원 |
최우수 | 3 | 농촌진흥청 청장상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상 |
각 200만원 |
우 수 | 4 | 한국농촌계획학회 학회장상 | 각 100만원 |
입 선 | 20 | - | 각 10만원 상당 상품권 |
구 분 | 세 부 내 용 |
---|---|
기 본 방 향 설 정 |
ㅇ 공모대상지 현황분석과 이해를 통한 계획 기본방향 설정 - 현지답사나 주민조사 등을 통해 공모대상지의 유∙무형 자원을 조사하고 분석 (작품의 완성도 제고를 위해 해당 시∙군 방문 및 지역주민 면담 필수) -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여건을 파악하여 계획 기본방향 설정 |
정 책 아 이 디 어 |
ㅇ 공모대상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인구감소, 지방소멸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한 농촌이 될 수 있는 정책적 아이디어 - 농촌특화 지구를 고려한 경쟁력을 갖춘 삶터, 일터, 쉼터를 조성하며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견 - 정주여건과 사업, 여가활동에 있어서 누구나 돌아오고 싶은 농촌공간과 머물고, 즐기며, 일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정책방향 제시 ㅇ 농촌중심지의 서비스 기능을 배후마을까지 전달, 연계할 수 있는 융∙복합 형태의 농촌공간 조성 |
공 간 계 획 |
ㅇ 제시한 정책적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공모대상지에 대한 농촌공간 계획 - 농촌특화지구를 중심으로 종합적 공간 활성화 - 주거·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종합적 공간 재정비 - 농촌 중심지-배후마을 연계형 서비스 공간 창출 - 일자리·창업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휴시설 활용 방안 마련 |
시도명 | 시군명 | 읍·마을명 | 주소 | 담당부서 | 전화번호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강 원 | 양양군 | 손양면 | 손양면 가평리 29-2번지 일원 | 농촌개발과 | 033-670-2483 | ||
충 북 | 단양군 | 단양읍 | 단양읍 중앙1로 35 | 농업활력과 | 043-420-3592 | ||
충 남 | 홍성군 | 결성면 | 결성면 금곡리 24-3 | 친환경농정발전기획단 | 041-630-1346 | ||
전 북 | 정읍시 | 옹동면 | 옹동면 매정리 1585-6 일원 | 지역활력과 | 063-539-6844 | ||
전 남 | 장흥군 | 회진면 | 회진면 회진리 201 | 농촌활력사업소 | 061-860-6643 | ||
경 북 | 영천시 | 고경면 | 고경면 해선리 309-2 | 지역활력과 | 054-339-8429 | ||
경 남 | 합천군 | 쌍책면, 덕곡면 | 덕곡면 율지2길 13-7 | 미래성장활력과 | 055-930-3362 | ||
제 주 | 서귀포시 | 대정읍 | 대정읍 하모리 2139 외 16필지 | 마을활력과 | 064-760-2242 |
구 분 | 일 정 | 주요사항 | |
---|---|---|---|
신청서접수 | 4월 14일(월) ~ 7월 4일(금) | 홈페이지 접수 | |
1차 심사 | 작품접수 | 7월 23일(수) ~ 8월 1일(금) | 판넬작품 온라인 접수 * 표절온라인공개검증(8.2~8.11, 10일간) |
작품심사 | 8월 14일(목) | 최종 입선작 선정 | |
2차 심사 | 작품접수 | 8월 19일(화) | 발표자료 접수 (표절온라인공개검증 포함) |
작품심사 | 8월 28일(수) | 발표심사(포상 종류 결정) | |
수상작 발표 | 9월 8일(월) | 홈페이지 공지 및 개별 통지 | |
전시 및 시상 | 9월 ~ 12월 | 전시기간 중 1일 시상식 개최, 장소 추후 안내 |
제출대상 | 제출방법 | 규격 | 작성방법 |
---|---|---|---|
참가 신청자(팀) |
홈페이지 제출 <시간준수> |
- | ○ 홈페이지에서 신청 |
제출대상 | 제출방법 | 규격 | 작성방법 |
---|---|---|---|
참가 신청자(팀) |
홈페이지 파일제출 <시간준수> |
디지털 파일규격 A4 5장 내 (표지제외) |
○ 작품설명 요약, 계획 개념 및 계획방향, 대상지에 대한 분석 및 종합분석도, 정책적 아이디어 , 실천적 프로그램 등에 대한 설명과 이를 다이어그램, 기본계획도 스케치 등으로 자유롭게 표현 * 세로(종)방향으로 작성한 후 홈페이지에 파일로 제출 (파일 제출 시 가로세로 비율 등 규격 준수) |
제출대상 | 제출방법 | 규격(mm) | 작성방법 |
---|---|---|---|
참가 신청자(팀) |
홈페이지 제출 <시간준수> |
디지털 파일규격 가로800 세로1,600 1장(단면) <규격준수> |
○ 주제가 잘 표현될 수 있는 현황분석도, 계획개념도 등 ○ 현황분석과 계획개념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적 아이디어, 실천적 프로그램 등을 자유롭게 표현 ○ 필요한 경우 다이어그램, 기본계획도, 스케치 등을 포함 * 세로(종)방향으로 작성한 후 홈페이지에 파일로 제출 (파일 제출 시 가로세로 비율 등 규격 준수) * 파일형식은 jpg파일이며, 해상도는 300dpi 이상 (단, jpg파일로 변환이 어려운 프로그램일 경우 pdf파일로 변환 후 pdf파일로 제출 가능) |
제출대상 | 제출방법 | 규격 | 작성방법 |
---|---|---|---|
1차심사 장려상이상 통과자(팀) |
2차 심사당일 심사장에 제출 |
파워포인트 20장 내 |
○ 작품 설명내용을 자유롭게 표현 * 가로(횡)방향으로 작성 |
구 분 | 세부사항 |
---|---|
자료조사 충실도 | ○ 유·무형의 마을현황 조사, 지역주민 인터뷰 등 |
자료분석 적절성 | ○ 조사 대상지 다양한 현황 분석 |
계획의 타당성 | ○ 마을자원 활용 목적 및 방법 타당성 여부 ○ 주변 공간 및 환경과의 조화 반영 |
공모주제와 부합성 | ○ 살고, 일하고, 쉬는 새로운 농촌에 대응하는 농촌 계획 및 창의적 정책 아이디어, 프로그램의 구체적 수립 적절성 |
아이디어 참신성 | ○ 기존의 일반적인 농촌계획과는 차별화된 참신한 아이디어 반영 여부와 적절성 |
계획실현 가능성 | ○ 제시된 농촌계획의 실현 사업추진 가능 여부 |